센터활동

photo_2023-05-31_09-34-12.jpg

 

5월 26일(금) 오전 9시부터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울산대병원분회 확대간부수련회가 개최되었다. 울산노동인권센터에서 "울산 의료환경 변화와 노동조합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노동조합 간부교육을 확대간부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했다. 

 

울산의 의료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코로나를 거치면서 민간병원들이 대형와 되고, 산재전문병원 등 공공병원도 확충되고 있다. 2023년 3월 기준으로 울산의 전체 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 포함) 병상수는 3,365병상이다. 그러나 현재 확장되고 있는 민간병원과 공공병원의 전체 병상 증축계획을 감안하면 2027년 경에는 6,065병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울산지역 병상 증가는 전국광역시도중 인구대비 의료진 수가 최하위권에 속하는 울산에서 공공의료의 관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변화다. 

 

그러나 문제는 울산지역 종합병원의 노동조합 조직률은 매우 낮아 노동조합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병원노동자의 처지가 매우 열악하다는 것이다. 울산대병원노동조합과 울산노동인권센터가 조사한 "울산지역 병원노동자 임금 근로조건 실태조사"에 따르면 노동조합이 없는 병원사업장 노동자의 72%가 연장근무를 하더라도 연장근무수당을 못받는다고 답했고, 야간근무를 하더라도 야간근무수당을 받지 못한다는 답변도 10%에 달했다. 또한 68%의 병원노동자가 갑질행위를 경험했으며,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한 병원에서 평균 근속연수는 3.6년에 불과했다. 

 

photo_2023-05-31_09-34-15.jpg

 

병원노동자들은 항상 부족한 인력에 자신의 노동을 갈아넣고 있고, 몸이 아픈 환자들을 돌보는 만큼 항상 감정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병원노동자들이 좀더 인간다운 노동을 하며 환자를 돌볼 수 있을때 공공의료도 발전할 수 있다. 

 

그 우선이 노동조합이 없는 병원노동자가 노동조합의 보호를 받는 것이다. 울산대병원노동조합의 조합간부들과 울산의 낮은 노동조합 조직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하고 의지를 모으는 소중한 자리였다. 

이후로도 울산노동인권센터는 울산지역 병원노동자의 권리향상과 노동조합 조직을 위해 함께 힘을 모을 것이다. 

 

[9월 기획강좌 공지] 기후위기와 공공교통

심각해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9월23일 서울에서는 기후정의행진이 진행됩니다. 923기후정의 행진을 맞아 울산에서는 기후정의학교를 진행하고 1강을 공공운수노조 민주버스본부 울산지부와 울산노동인권센터...

2023.09.12

‘기초연금 문제점과 개선방안’ 기획강좌 진행

지난 8월 22일(화), ‘기초연금 문제점과 개선방안’이라는 주제로, 노년알바노조(준) 허영구 위원장님을 모시고 울산노동인권센터 8월 기획강좌가 진행되었다. 현재 고령인구(65세이상) 비율은 17.5%(여성노인은 20%를...

2023.09.12

"세계노동운동의 최근 흐름" 기획강좌 진행

"세계노동운동의 최근 흐름" 기획강좌 진행 지난 6월 14일, 울산노동인권센터는 강민형 교수(전북대)의 강의로 ‘세계노동운동의 최근 흐름’이라는 주제로 기획강좌를 개최했다. 울산노동인권센터 회원 20여명이 참여...

2023.08.16

[8월 기획강좌 공지] 기초연금 문제점과 개선방안

< 울산노동인권센터 2023년 8월 기획강좌 > "기초연금 문제점과 개선방안" 65세 이상 노인 인구 전체 17.5%, 노인빈곤율 43.2%로 OECD 국가 평균의 3배, 수급대상자 중 하위 70%에게 최고한도로 월 323,180원을 지급...

2023.08.16

[이달의 노동상담] 당직근무는 연장.야간수당을 못 받나요?

노동자 권리찾기의 시작은 자신의 권리를 알아나가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울산노동인권센터는 매달 진행된 노동상담 내용 중 회원들이 꼭 알아야할 내용을 중심으로 상담 사례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1. E병원 시설부 ...

2023.05.31

울산 의료환경 변화와 노동조합의 대응(울산대병원분회 확대간부 교육 진행)

5월 26일(금) 오전 9시부터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울산대병원분회 확대간부수련회가 개최되었다. 울산노동인권센터에서 "울산 의료환경 변화와 노동조합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노동조합 간부교육을 확대간부를 ...

2023.05.31